타이포그래피
-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한 장르
폰트
- 타이포그래피 속성이 완벽히 같은 한 벌의 군
- 낱자 + 기호 + 숫자 = 한 벌의 집합체
- 구성요소 : 동일한 체계 속에서 구조적 동일성을 가짐
- 획의 굵기, 형태의 시각적 속성, 획과 공간의 분포 동일/균일
타입페이스와 폰트의 차이점
- 타입페이스 (typeface) : '글자체', 철저하게 활자의 시각적 속성만을 언급하는 용어
- 폰트 (font) : 단일 디자인에서 활자의 크기나 시각적 속성이 완벽히 같은 한 벌
폰트의 요소
- 대문자, 소문자, 숫자, 작은 대문자, 분수, 합자, 구두점, 수학 기호, 발음 강세 기호, 화폐 기호, 장식 기호 등을 포함함
패밀리
- 모폰트가 체계적인 과정을 거쳐 전개된 한 벌의 집합체
- 패밀리를 구성하는 각 폰트 : 서로 유사하지만 부분적으로 각기 다른 시각적 특성이 있음
- 어떤 패밀리는 단 몇 개의 폰트만으로 구성되는가 하면 어떤 패밀리는 매우 많은 폰트로 구성됨
패밀리의 무게에 따른 분류
- 일반적 : 라이트light < 레귤러regular/플레인plain < 미디엄medium < 볼드bold
- 세밀화
① 엑스트라 라이트 extra light < 라이트 light < 세미 라이트 semi light < 미디엄 medium < 세미 볼드 semi bold < 볼드 bold < 엑스트라 볼드 extra bold < 울트라 볼드 ultra bold
② thin < ultra light < light < regular < medium < semibold < bold < extra bold < heavy
패밀리의 다양한 글자너비에 따른 분류
- light condensed < light < light extended
- regular condensed < regular(모폰트) < regular extended
- bold condensed < bold < bold extended
- extraboldcondensed < extrabold < extrabold extended
혹은
- ultra expanded, extra expanded, expanded, regular, condensed, extra condensed, ultra condensed
이탤릭
- 패밀리를 구성하는 하나의 폰트
- 대조나 강조를 위해 주로 사용
유니버스 패밀리 Univers family (대표적)
- 1957년 아드리안 프루티거가 디자인
- 22개의 폰트로 구성
-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무게나 글자너비에 관한 방법을 수학적 시스템에 근거한 '숫자'로 대체
참고) 한글 디지털 폰트에서 윤디자인연구소에서 개발한 윤고딕과 윤명조가 숫자체계를 최초로 시도 (110-160)
- 유니버스의 모폰트 : 유니버스 55 (본문에 매우 이상적)
특징 및 장점
- 다른 패밀리에 비해 x-높이가 매우 높음
∴ 타입이 작더라도 소문자가 크게 보여 가독성이 뛰어남
- 22개의 폰트의 x-높이, 어센더, 디센더가 모두 똑같음
∴ 함께 사용하더라도 시각적 흐름이 한결같이 유지됨
* 이러한 장점은 유니버스 패밀리의 매우 중요한 핵심으로 폰트 사용에 무한한 가능성과 융통성을 갖게 함
유니버스 폰트 명칭 보는 방법
- 앞의 숫자가 3이면 가장 가볍고 8이면 가장 무겁다
- 뒷숫자가 3이면 글자너비가 가장 넓고 9면 가장 좁다
- 뒷숫자가 홀수이면 정체, 짝수이면 이탤릭
예시)
- Univers 53,55,57,59 : 정체
- Univers 56, 58 : 이탤릭
source / 타이포그래피 천일야화